서울하수도과학관, 연령대 맞춤형 교육수혜자 연4만 명으로 확대

서울시 정보

서울하수도과학관, 연령대 맞춤형 교육수혜자 연4만 명으로 확대

dongjja 2019. 1. 19. 22:12
반응형
SMALL

서울하수도과학관, 연령대 맞춤형 교육수혜자 연4만 명으로 확대












□ 서울하수도과학관이 2019년을 맞이하여 교육프로그램 및 각종 문화행사를 새롭게 확대 개편한다.

□ 서울하수도과학관은 그동안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프로그램 증설을 희망하는 시민들이 증가함에 따라, 요구에 부응하여 2018년 개관 시 7종으로 운영되었던 프로그램을 올해 15종으로 확대 편성하였다.

<새롭게 선보이는 교육 프로그램>

□ 이번에 신설되는 프로그램은 하수도의 기술 과학에 초점을 두고 개발하였으며, 미취학아동부터 초등학교 고학년까지 연령대에 맞는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연령별 흥미와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했다.

□ 서울하수도과학관의 특성인 하수도라는 교육주제에 맞춘 ‘미생물아 고마워’는 하수처리과정 중 미생물의 역할 및 중요성을 학습하고 직접 관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.

□ 중요 하수 시설물 중 하나인 맨홀의 원리에 대해 살펴보는 ‘둥글둥글 맨홀:맨홀과 정폭도형’, 강 주변과 강 속 동식물을 알아보는 환경 교육 프로그램 ‘물 속으로 퐁!퐁!퐁!’ 등은 주말 가족체험 프로그램으로 많은 관심 속에 운영을 앞두고 있다.

<인기리에 운영 중인 프로그램>

□ 매주 토요일, 서울하수도과학관은 영화관으로 변신한다. ‘가족과 함께하는 MOVIE DAY’. 매월 환경문제 등을 다루거나 가족 간 이야기 등을 다룬 영화를 선정하여 상영한다. 1월에는 ‘이상기후’를 주제로 다룬 영화인 ‘심슨가족, 더 무비’, ‘인투더스톰’, ‘2012’ ‘투머로우’를 상영할 예정이다.

□ ‘장한평의 영(young)한 실험실’이란 의미가 담긴 ‘장영실 체험마당’은 중·고등학교 과학 동아리 학생들의 주도로 진행되는 행사다. 과학 동아리 학생들이 강사가 되어 관람객을 대상으로 새로운 실험을 체험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.

□ 유아 및 초등학생 단체가 대상인 “내 똥은 어디로 갈까”는 아동들이 흥미로워하는 똥의 이동기를 담은 퍼즐 맞추기, 클레이를 이용한 미생물 만들기 등 체험학습 프로그램으로, 하수처리과정을 퍼즐로 쉽게 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진행된다.

□ 교육프로그램 운영과 별개로, 서울하수도과학관은 관람객의 시설이용에 대한 만족도 향상을 위해 정보도서관의 디지털콘텐츠 접근 환경을 개선하고 및 과학 자료를 상시 비치하여 관람객들이 과학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다.

□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로 운영되며, 사전예약을 통해 참여 가능하다. 교육 프로그램 예약은 서울하수도과학관 홈페이지를 통해 할 수 있다. (http://sssmuseum.org)

□ 서울하수도과학관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은 환경 보전을 위해 꼭 필요하지만 쉽게 접할 수 없는 하수처리의 개념을 보다 쉽고 친근하게 이해하여 물의 소중함과 환경보호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.

□ 이정화 물순환안전국장은 “2018년 한 해 동안 서울하수도과학관에 성원을 보내주신 시민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”며, “2019년에는 평소 어린이들이 접하기 힘들었던 다양한 콘텐츠를 확보하여 서울하수도과학관이 유익한 체험활동공간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”고 밝혔다.




출처 : 서울특별시 에서 19년 작성한 공공누리 제 4유형으로 제공부서

[물재생센터 - 중량물재생센터]를 이용함.

해당 저작물은 서울특별시 새소식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



 

잘보셨다면 공감 한번씩 눌러주세요 큰 힘이됩니다.


(로그인이 필요 없습니다.)

반응형